Blogger 기본 사이트맵 주소를 활용해 색인 효율을 높이려면, 아래와 같은 매개변수를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.
서치콘솔, 사이트맵 주소를 활용해 색인 효율을 높이기
1. 기본 형식
- atom.xml
Blogger는 기본적으로 Atom 형식의 피드를 제공한다. Atom 피드를 검색엔진에 ‘사이트맵’처럼 제출할 수 있다. - redirect=false
Blogger 내부 리다이렉트를 무시하고 해당 파라미터를 유지함으로써, 실제 피드 주소로 바로 연결되도록 설정한다. - start-index=1
피드(게시물) 목록을 불러올 때, 몇 번째 게시물부터 시작할지를 지정한다. 1로 설정하면 가장 처음 게시물부터 불러온다. - max-results=500
한 번에 최대 몇 개의 게시물을 피드로 제공할지 설정한다. 기본적으로 최대 500개까지 가능하다.
2. 포스팅이 많을 때 다중 사이트맵 구성
Blogger 한 사이트맵(피드)로는 최대 500개 게시물만 표시할 수 있다. 만약 게시물이 500개를 넘으면, 인덱스 누락을 막기 위해 여러 개의 사이트맵을 만들어야 한다.
예시
- 사이트맵 1bash코드 복사
- https://블로그주소/atom.xml?redirect=false&start-index=1&max-results=500
사이트맵 2bash코드 복사
https://블로그주소/atom.xml?redirect=false&start-index=501&max-results=500
사이트맵 3bash코드 복사
https://블로그주소/atom.xml?redirect=false&start-index=1001&max-results=500
이런 식으로 start-index 값을 1, 501, 1001, 1501… 식으로 늘려가며 만들고, 각각을 Google Search Console의 ‘사이트맵 제출’ 메뉴에서 따로 등록하면 된다.
예를 들어 총 1,200개의 게시물이 있다면,
- 첫 번째 사이트맵: 게시물 1~500
- 두 번째 사이트맵: 게시물 501~1000
- 세 번째 사이트맵: 게시물 1501~2000
이렇게 3개의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모든 게시물이 누락 없이 인덱싱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.
3. Search Console에 제출 후 모니터링
- 사이트맵 등록: Search Console > ‘사이트맵’ 섹션에서 각 URL을 입력 후 제출 버튼을 클릭한다.
- 색인 상태 확인: 제출 후, 일정 시간이 지나면 Search Console에서 “색인 됨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
- 오류 모니터링: 만약 색인 오류(예: 404 Not Found)가 발생하면 이를 해결한 뒤, 다시 사이트맵을 제출하거나 ‘색인 요청’ 기능을 사용한다.
4. 추가 팁
- 마지막 페이지 게시물 수
예를 들어 총 게시물이 1,230개라면, 마지막 사이트맵(start-index=1001
)은 max-results=500을 그대로 두더라도 실제로는 230개의 게시물만 포함하게 된다. 이는 자동으로 처리되므로 그대로 제출해도 문제없다. - 피드 형식(RSS vs. Atom)
Blogger는 기본적으로 Atom 피드를 사용한다. RSS 주소도 지원하긴 하지만, 공식적으로 Atom 주소가 더 안정적이다. - 주기적 업데이트
새 글을 작성할 때마다 Search Console에 사이트맵을 매번 제출할 필요는 없으나, 게시물이 대폭 늘어났다면(예: 500개 단위로 넘어갔다면) 새로운 사이트맵을 추가로 제출하는 것을 권장한다.
7 Keywords:Atom Feed,redirect=false,start-index,max-results,Multiple Sitemaps,Index Coverage,Search Console Submission
0 댓글